서버 운영/Linux

리눅스 RAID 구성 및 명령어 mdadm

meong_j 2021. 10. 13. 14:50
728x90
반응형

RAID (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)

여러개의 하드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(저렴한 디스크)에 중복 저장하는 방법

 

 

 

RAID 0

스트라이핑 방식을 사용하여 최소 2개의 하드 디스크에 하나의 정보를 2개 이상 디스크에 나눠서 저장하는 방법

 

 

특징

  • 스트라이핑 방식
  • 최소 2개의 하드 디스크 필요
  • 모든 디스크에 동시 저장
  • 공간 효율성
  • 한개의 디스크가 고장나면 모든 정보 사용불가 (신뢰성 낮음)
  • 성능 뛰어남

 

 

RAID 1

미러링 방식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2개 이상 하드 디스크에 중복저장하는 방법

 

특징

  • 미러링(Mirroring) 방식
  • 데이터 저장에 두 배 용량 필요(공간 효율 낮음)
  • 한 개의 디스크 고장나도 사용 가능 (신뢰성 높음, 결함 허용)
  • 저장속도는 변함 없음
  • 중요한 데이터 저장에 용이

 

 


RAID 5

패리티를 통해 하나의 디스크가 문제가 생겨도 잃어버린 데이터 복구할 수 있는 방법

* 패리티란 남은 디스크의 저장공간을 의미

 

 

특징

  • 어느 정도 결함 허용 (단, 디스크 2개 이상 고장시 패리티로도 복구 불가능)
  • 저장 공간 효율성
  • 디스크개수 - 1 의 공간 사용

 

 

RAID 6

패리티를 2개 사용하여 RAID5보다 안전성을 높인 저장 방법

 

특징

  • RAID5보다 안정성 높음
  • 저장 공간 비효율적 (패리티 저장 디스크가 2개)
  • 디스크 고장시 데이터 이상 없도록 하는 방식( 신뢰도 높음)
  • 최소 4개의 디스크 필요
  • RAID5보다 속도 느림

 

 

RAID 1 + 0

RAID6 보다 더 안정적이고, RAID5의 장점을 극대화하기위해 RAID 1의 스트라이핑 기술과 RAID 0의 미러링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한 방식

 

특징

  • 신뢰성과 성능이 동시에 뛰어남
  • 최소 4개 디스크 필요

 

RAID 0 + 1

RAID 1 + 0D의 반대 개념으로 디스크 2개를 먼저 미러링 구성하고 스트라이핑하는 방식

 

특징

  • 최소 디스크 4개 필요

 

■ RAID 관련 명령어 (mdadm)

 

mdadm

mdadm -C [생성할 RAID장치명]  -l [RAID 버전]  -n [장치수]  [RAID로 만들 장치명1] [RAID로 만들 장치명2]...

리눅스에서 RAID 생성하는 명령어이다.

 

 

사용 예시)

# mdadm -C /dev/md0 -l 0 -n 2 /dev/sdb1 /dev/sdc

-> 2개의 분할된 파티션인 /dev/sdb1, /dev/sdc을 스트라이핑 기술을 적용하여 /dev/md 이라는 RAID 장치로 생성한다

    여기서 스트라이핑 기술을 적용한 RAID는 RAID-0 방식이다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