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 운영/Linux

리눅스마스터1급 2차 실기 기출 및 예상문제 풀이 - 사용자 관리

meong_j 2021. 10. 7. 18:30
728x90
반응형

해당 문제는 CentOS7 으로 리눅스마스터 1급 정복하기 교재의 수록 문제를 참고했습니다.

 

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17597727 

 

CentOS 7으로 리눅스마스터 1급 정복하기

리눅스마스터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리눅스 기반의 DESKTOP 활용 및 SERVER 운영 능력, 리눅스 시스템의 설계 개발 및 관리 능력, 리눅스 기반의 네트워

book.naver.com

 

 

[사용자 관리 - 단답식]

1번 문제

다음 조건에 맞게 사용자를 생성하려 한다. (괄호)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.

#mkdir /home/insa
#groupadd insa
#useradd ( 1 ) ( 2 ) posein

□ 조건
- posein의 주 그룹을 insa로 설정한다
- 홈 디렉터리는 /home/insa 디렉터리 안에 아이디와 동일하게 생성한다
-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. (예: -u posein)

 정답

(1) -g insa

(2) -d /home/insa/posein

(1번과 2번 정답 순서 바뀌어도 무방)

 

useradd -g insa -d /home/insa/posein posein

 

풀이

주 그룹을 설정할 땐 useradd -g 그룹명 사용자명 으로 설정합니다.

옵션값 -g는 group의 약자입니다.

아이디가 posein인 홈 디렉터리 경로은 /home/insa/posein 이며,

홈 디렉터리 설정은  useradd -d 홈디렉터리경로 사용자명입니다.

순서는 바뀌어도 상관없습니다.

이때 -D 옵션과 헷갈리면 안됩니다.

useradd -D 옵션은 /etc/default/useradd 에 설정된 유저 추가와 관련된 기본 정보(Default)를 보여주는 옵션입니다.

 

 

 

 

2번 문제

다음 조건에 맞게 사용자를 생성하려 한다. (괄호)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.

#mkdir /home/alba
#useradd ( 1 ) ( 2 ) ( 3 )
#useradd alin
#useradd joon

□ 조건
- alin 및 joon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는 /home/alba 디렉터리 안에 생성되도록 설정한다.
- 해당 계정들은 2016년 12월 31일까지만 로그인이 되도록 설정한다
-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. (예: -u posein)

정답

(1) -D

(2) -b /home/alba 

(3) -e 2016-12-31

(2 번과 3번은 순서 바뀌어도 무방)

 

useradd -D -b /home/alba -e 2016-12-31

 

□ 풀이

사용자 계정 추가시, 기본적으로 -D 옵션을 사용해 변경해야하고,
홈 디렉터리를 설정할 경우 -b  옵션을 사용해서 기본 디렉터리(base_dir)로 설정합니다.

계정 만기일 설정은 -e 옵션이며. YYYY-MM-DD 형식으로 지정합니다.

 

 

3번 문제

다음 조건에 맞게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려고 한다. (괄호)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

# ( 1 ) ( 2 ) yuloje
# ( 1 ) ( 3 ) ( 4 ) posein

□ 조건
- yuloje 사용자의 로그인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.
- posein 사용자는 2016년 12월 31일 까지만 로그인이 되도록 설정하고,
패스워드 만기일이 지난 후 유예 기간은 5일로 설정한다.
- 1번은 해당 명령어를 적는다
- 2 ~ 4번은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을 적는데,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.
(예: -d /home/insa)

 정답

(1) usermod

(2) -L

(3) -e 2016-12-31

(4) -f 5

(3 번과 4번은 순서 바뀌어도 무방)

 

usermod -L yuloje

usermod -e 2016-12-31 -f 5

 

□ 풀이

사용자의 정보를 변경 할 경우 usermod 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
사용자의 로그인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때 usermod -L 옵션으로 설정합니다.

L은 lock을 의미하며 유저의 패스워드를 lock 잠근다는 의미입니다.

(참고로, -l 옵션은 로그인 아이디를 변경할때 사용합니다. -l 은 login의 약자입니다.)

패스워드 만기일이 지난 후 패스워드에 Lock을 설정할 유예기간은 -f 옵션을 사용해,

usermod -f 유예기간일자 로 지정합니다. 

 

 

 

4번 문제

다음 조건에 맞게 사용자를 변경하려 한다. (괄호)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.

# ( 1 ) ( 2 ) ( 3 ) ( 4 ) ( 5 ) posein 

□ 조건
- 패스워드 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날짜는 30일이고, 패스워드 변경한 후에는 최소 3일 동안 사용해야 한다.
- 해당 사용자는 2016년 12월 31일까지만 로그인이 되도록 설정하고,
패스워드 만기일이 지난 후 유예기간은 7일로 설정한다.
- 1번은 해당 명령어를 적는다
- 2~4번은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을 적는데,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.

 정답

(1) chage

(2) -m 3

(3) -M 30

(4) -E 2016-12-31

(5) -I 7

 

chage -m 3 -M 30 -E 2016-12-31 -I 7

 

□ 풀이

chage 명령어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.

-m은 mindays의 약자로, 패스워드 변경일로 부터  최소 일자로 변경할 수 있는 지 설정합니다.

chage -m 최소일자

-M은 maxdays의 약자로, 패스워드 최종 변경일부터 패스워드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일수를 설정합니다.

chage -M 최대일자

패스워드 만료일은 -E 옵션을 사용하고, YYYY-MM-DD 형식을 따름니다.

패스워드 만료일까지 패스워드를 바꾸지 않을 경우, 유예기간이 주어지는데 

-I 옵션으로 설정하고, Inactive의 약자입니다

chage -l 유예일 

 

 

5번 문제

posein 사용자의 아이디를 yuloje로 변경하려고 한다. 다음 조건 일때 (괄호)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

# usermod ( 1 ) ( 2 ) ( 3 ) posein

- 홈 디렉토리는 기존의 /home/posein 에서 /home/yuloje로 변경한다
- 기존에 사용하던 파일이나 디렉토리들은 그대로 옮겨오도록 한다
- 괄호에는 옵션 또는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을 적는데,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은 하나의 괄호로 처리한다.
(예: -u posein)

 정답

(1) -l yuloje

(2) -d /home/yuloje

(3) -m

 

usermod -l yuloje -d /home/yuloje -m posein 

 

□ 풀이

사용자의 아이디 변경은 usermod -l (login) 입니다

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변경은 usemod -d 변경할 디렉토리 이고( directory), 

기존의 사용하던 파일이나 디렉토리 옮길땐 usermod -m (move) 를 사용합니다

 

 

6번 문제

다음 작업에 알맞은 명령어로 적으시오

(1) 사용자의 계정 만기일을 지정하기 위해 /etc/shadow를 검색했으나 존재하지 않는다.
해당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를 찾으시오.
(2) /etc/passwd 및 /etc/shadow 필드 검사, 아이디 중복 유무 검사, 유효한 사용자 검사 들을 시행하는 명령어를 적으시오

 정답

(1) pwconv

(2) pwck

 

 풀이

pwconv는 /etc/passwd에 있는 패스워드 데이터 변경하고, 암호화된 패스워드가 저장된 /etc/shadow 파일을 생성합니다.

pwck는 패스워드의 보안 문제점을 검사하는 명령어로 /etc/passwd , /etc/shadow 파일에서 사용됩니다.

 

 

7번 문제

□ 조건
- 인사부 그룹을 insa로 생성하고, GID는 1000번을 부여한다
- /home/insa 라는 디렉터리를 생성하고, 이 디렉터리는 인사부에 속한 사용자들만 접근 및 파일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한다.

(1)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을 적으시오
(2)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을 적으시오
(3) /home/insa/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을 지정하는 명령을 적으시오
(4) /home/insa 디렉터리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를 적으시오 
(단, 기본 허가권 설정값을 알 수 없는 상태임을 고려해야 한다)

 정답

(1) groupadd -g 1000 insa

(2) mkdir /home/insa

(3) chgrp insa /home/insa

(4) chmod 750 /home/insa

(750 항목은 50만 맞으면 정답으로 인정 , 예 : 050)

 

 

 풀이

그룹을 추가 및 생성 할때는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
-g 옵션은 그룹의 GID 지정할때 사용하고

groupadd -g GID

(참고로, -G 옵션은 없습니다)

디렉토리 생성은 mkdir [디렉토리경로] 로 쓰입니다

chgrp 는 change group의 약자로 파일 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.

chgrp [변경할 소유그룹명] [파일명/디렉토리명]

chmod는 디렉터리 사용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. 인사부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만 접근 및 사용가능하도록 권한을 줍니다. 

읽기 - 4, 쓰기 - 2, 실행 - 1

 

 

 

 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