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 운영/Linux
Linux 디스크 쿼터(Quata) 관련 명령어
meong_j
2021. 11. 5. 11:18
728x90
반응형
💡 디스크 쿼터(Quata)
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의 용량을 제한하지 않는다.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디스크 용량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모든 용량을 사용할 경우 시스템 상 문제가 생길 수 있다.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디스크 쿼터(Quota)는 파일 시스템 간 특정 사용자가 디스크에 있는 용량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.
이러한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기 위한 관련 명령어를 알아보자
파일 시스템 quota관련한 설정은 /etc/fstab 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다.
🔻아래 링크에 관련 내용을 포스팅 해두었으니 참고하시길..
https://meongj-devlog.tistory.com/134
리눅스 파일시스템 (/etc/fstab)
/etc/fstab 리눅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. 파티션 정보를 변경하거나 디스크를 추가 할때 이 파일에 등록해야만 자동 마운트가 된다. 윈도
meongj-devlog.tistory.com
mount
# mount -o remount [마운트경로]
- /etc/fstab 파일을 수정한 후 반영이 되도록 재부팅 및 리마운트를 한다
- mount 명령어로 현재 마운트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
quotacheck
# quotacheck [option] [디렉터리명]
-m : 마운트하지 못할 경우 강제로 체크
-f : 쿼터 파일 초기 생성시 강제로 인식
-a : 사용자와 그룹의 쿼터 체크
-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는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여 quota 기록 파일을 가장 최근 상태로 업데이트 시키는 명령어
- 처음 쿼터를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용량을 변경한 후 사용한다
- aquota.user와 같은 quota기록 파일을 갱신한다
- 파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되도록이면 quotaoff 상태에서 사용해야 한다
edquota
# edquota [option] [사용자명]
- 사용자나 그룹에 쿼터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
-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한다
- 실행시 vi 편집기가 실행된다
repquota
# repquota [마운트경로]
-a : 쿼터를 사용 중인 모든 파티션 정보 출력
- 파일 시스템에 설정된 쿼터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
- 해당 디렉터리에서 사용중인 용량 및 inode 수 확인 가능
*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(Quota) 설정하는 과정 *
1.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기 위해 /etc/fstab 파일 4번째 필드에 usrquota 추가
2. /home 영역을 다시 마운트 한다
# mount -o remount /home
3.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여 quota 기록 파일을 생성한다.
# quotacheck /home
또는
# quotacheck -mf /home
4. kaituser 사용자에 대한 쿼터를 설정한다.
# edquota kaituser
또는
# edquota -u kaituser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