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 운영/Linux

리눅스 FTP(vsftpd) 설치 및 환경 설정

meong_j 2021. 10. 24. 16:23
728x90
반응형

FTP (File Transfer Protocol)

FTP는 TCP/IP 프로토콜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며, 간결하고 안전하여 처리속도가 매우 빠른 프로그램이다.

대표적인 패키지로는 vsftpd가 있고, vsftpd 서버를 설치 및 설정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자.

 

vsftpd 데몬 실행 확인

  • vsftpd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하고, 실행되어 있지 않으면 vsftpd 데몬을 설치한다.

 

vsftpd 데몬 설치하기

# yum -y install vsftpd

  • yum 패키지 매니저로 vsftpd 패키지를 설치한다.

 

 vsftpd 환경 설정 ( /etc/vsftpd/vsftpd.conf )

  • vsftpd 데몬의 환경 설정하는 파일이다.

 

# vi /etc/vsftpd/vsftpd.conf

anonymous_enable=YES // 익명 사용자의 접근을 허가한다.
local_enable=YES //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접근을 허가한다.
anon_upload_enable=NO //익명 사용자의 파일 업로드는 거부한다.
anon_mkdir_write_enable=NO //익명 사용자의 디렉터리 생성은 거부한다.
chroot_local_user=YES // 접속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최상위 디렉터리로 지정한다.

 

vsftpd 접근 거부 사용자설정 목록파일 ( /etc/vsftpd/ftpusers  ; /etc/vsftpd/user_list )

  • vsftpd 설치 시 제공되는 파일로 vsftpd 서버에 접근 불가능한 사용자 목록을 지정한다.
  • 한 줄에 한 사용자씩 기입한다.

 

# vi /etc/vsftpd/ftpusers 
혹은
# vi /etc/vsftpd/user_list 


// lin과 joon의 FTP 서버 접근을 거부하도록 설정한다.
lin
joon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