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TCP와 UDP는 어떠한 차이를 갖는가?
-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,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
- 포트 번호 이용해 주소 지정
- 데이터 오류 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재
-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하고,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고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기능을 제공함 (정확성)
-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확실히 주고 받고 싶을때 사용
- 통신할 컴퓨터끼리 보냈습니다(SYN), 수락합니다( SYN ACK),도착했습니다(ACK) 서로 확인 메시지 메시지보내며 데이터 주고 받음 (3-way handshaking)
- 연결지향 프로토콜 -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주고 받음
- 데이터 보내기 전에 반드시 연결되어 있어야함
- 1:1 통신만 가능
- 상대적으로 UDP보다 전송 속도 느림
-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하고, 패킷에 순서 부여나 재조립 등의 기능을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서비스에 사용됨 (신속성)
- 비연결 지향적 프로토콜 :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연결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발신자가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발신하는 방식
- 연결과정이 없기 때문에 TCP보다 빠른 전송 가능하지만 신뢰도 하락
- 순차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보내더라도 이 패킷들이 서로 다른 통신에 전달 될 수도 있고, 늦게 도착할 수 도 있다
- 패킷 관리 필요
- 1:1, 1:N, N:N 통신 모두 가능
- 데이터 신뢰성은 제쳐두고 어찌됬건 빨리만 보내고 싶을 때 사용
- 신뢰성 없는 데이터 전송함
- 데이터 재전송과 데이터 순서 유지를 위한 작업 하지 않음
- 확인, 응답과 같은 절차를 생략할 수도 있어서 신뢰도는 없지만 신속성 향상
- TCP와 UDP는 포트번호로 어떤 서비스에게 데이터 전달하면 좋을 지 식별
- 포트번호 0~65525(16비트 분)까지의 숫자로 되어 있음
- 범위에 따라 용도가 정해져 있음
- 0~1023 : 잘 알려진 포트, 웹서버, 메일 서버 등 일반적
- 1024~49151 : 등록된 포트, 제조업체의 독자적인 서버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을 대기할 때 사용
- 49152~65535 : 동적포트,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
- 포트번호 0~65525(16비트 분)까지의 숫자로 되어 있음
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는?
라우터(Router)
- 목적지로 가는 적합한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함
- 네트워크 계층 속함 → IP 주소 기반 동작
- 패킷이 대상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경로 선택하는 데 사용
- 네트워크 주소가 서로 다른 장비들을 연결할때 사용
스위치 (switch)
- 목적지로 출발한 데이터를 중간에 적합한 경로로 스위칭해줌
- 데이터 링크에 속함 → MAC주소 기반으로 동작
- 도착한 패킷을 저장하고 처리하여 목적지 주소를 판별하고 패킷을 특정 대상으로 전달함
⇒ PC → 스위치 → 라우터 → 장거리 통신망(WAN)
차이?
WS 와 WAS의 차이는? 이둘을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?
https://velog.io/@away0419/WS-WAS-차이 참고
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.naver.com을 입력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? 큰 흐름을 설명해주세요.
https://velog.io/@jaeyunn_15/Network-www.naver.com을-치면-일어나는-일 참고
반응형
'IT_study >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객체지향 설계 원칙, 트랜잭션 격리, 해쉬테이블 (0) | 2022.08.24 |
---|---|
공인ip, 사설ip, nat, 프록시서버, DHCP (1) | 2022.08.18 |
CDN, CORS, 배포 인프라 (0) | 2022.08.11 |
Rest api, 클러스터형 vs Non클러스터형, 가비지콜렉터 (0) | 2022.08.04 |
가상메모리, Redis vs Memcached (0) | 2022.07.28 |